블로그 이미지

상쾌한 바람이 불어오는 계절

멀티인 동시에 본진. 신록의 발자국을 남기는 중. by 좋은날씨


가치부하적, 가치부하설

가치부하적*, 가치부하설

- 서울대 사회학과 이재열 교수는 최근 출간된 <외환위기 10년, 한국사회 얼마나 달라졌나>(서울대출판부·정운찬 조흥식 편)에 수록한 논문 <한국사회의 질(social quality)의 변화와 전망>에서 이 문제를 검토했다.

  그는 지난 변화를 가늠하는 개념으로 ‘사회의 질’을 끌어들였다. 이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유럽연합 학자들이 일상의 삶의 질을 포착하기 위해 제안한 개념으로 매우 가치부하적이라고 이 교수는 설명했다. 한 사회의 발전 정도는 정치나 경제든 단선적 요인으로 설명할 수 없는 복잡성을 가졌기 때문에 경제적 차원의 ‘선진화’라는 개념보다는 사회의 품격과 포용성, 상호신뢰 그리고 문화적 매력까지 포괄할 수 있는 ‘사회의 질’ 개념으로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.

- 따라서 상황적 보수주의는 다분히 몰가치적인 표현인데 반해, 진보라는 말은 통상 가치 부하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상황적 보수주의에 대항하는 정치 세력을 그 이데올로기적인 내용과 상관없이 진보세력이라고 부르는 것은 다소 무리가 따를 것으로 보인다.

 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부하 負荷
[명사]
1. 짐을 짐. 또는 그 짐.
2. 일을 맡김.
3. 임금의 맡은 직책. 
4. <물리>원동기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.
    예를 들면 발전기에서 나온 전기로 전등을 켤 때의 전등을 이른다.
    (부하가 걸리다, 부하를 받다, 부하를 걸다.)
5. <물리>전자 회로에서 출력을 내기 위한 장치.
    부하되다 [동사]<물리> 부하가 걸리다.
    부하하다 [동사]


가치부하설(value-ladenness thesis)
theory-ladenness : 이론 의존성
ladenness는 의존하다의 의미?


lad·en
〔〕 a.
1a. 짐을 실은, 화물을 적재한
 b. [복합어를 이루어] (책임·짐 등을) 지고 있는;(…을) 많이 가진, 충분히 지닌
famine-laden districts 흉작 지역
2. (…으로) 괴로워[고민]하는 《with》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즉, 부하(負荷, 또는 laden)은 어떠한 압력(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무게감 있는 어떠한 속성을 의미)을 대상에 싣는 것, 또는 실리는 것, 또는 그러한 상태를 의미한다.


1. 부하적인
부하(負荷) + -적(的)
‘-적’과의 결합을 통해 명사는 수식적인 의미를 획득. 그러니까 ‘부하적인’이란 말은..

어떠한 속성을 대상에게 싣는 것,
어떠한 속성이 대상에게 실리는 것
어떠한 속성이 대상에게 실려있는 상태

※ 그러니까. 실려서 무게를 갖는, 무게가 실려 있는.. 의 의미로 파악할 수 있다(?)

체중부하적 - 체중이 실리는..
  : 체중(속성)이 신체의 어느 부위(대상)에 실리는..


2. (↔몰가치적인)

- (사회과학)가치관련(價値關聯) 또는 가치판단(價値判斷)과 대조되는 용어로서 가치중립성을 뜻한다.
- 맨 위의 예문에서는 통상적인 의미의 ‘가치를 고려하지 않는다. 중요하지 않다’의 몰가치로 이해해야 할듯?

그러니까. 가치부하는 가치관련, 가치판단의 의미인가(?)


가치부하적 개념

- 가치가 대상에 실려서 무게를 갖는(어쩐지 대상에 의존하여 무게를 얻는 느낌?)
- 가치가 중요시 되는 개념
- 가치와 관련된 개념
- ?

 
그러니까 ‘가치부하적’의 의미는
[가치와 관련이 있다. 가치에 무게가 실려 있다.] 인 듯.


p.s
가치부하설(價値負荷說) : 인간의 인식과 지식은 인간이 지는 관심과 동기, 신념과 가치관, 개념과 이론, 선행지식과 경험에 기초하여 세계를 해석, 이해하고 탐구한 결과로 이루어진다.(사실과 가치의 엄격한 분리 부정)

p.s 2
열심히 찾아보고 결론은 내렸는데, 이게 맞나 -_-;;

Top

prev 1 next